안녕하세요.

서울 점 잘 보는 집 수연궁 입니다.
오늘은 눌림굿 도중에 작두거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눌림굿은 신가물(신기가 있는 사람)을 눌러 

일상적인 생활은 가능하게 비는 굿거리입니다.
신가물 이란 신령님을 느낄 수 있는 

영적인 능력이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

 

신가물을 눌러 제자가 아닌 일반인으로

빌면서 살아갈 수 있게

신명을 다해 작두거리를 했습니다..

작두날은 날카롭게 세워야 더 신명이 난답니다...

 

 

작두거리는 황해도 무당들이 제가집에 굿을 하러 갔을 때
장군 신의 위력을 보여주기 위해 그 집에서 사용하던
소의 여물을 썰던 칼인 작두(작도)를 타던 것이 유래가 되었습니다.

 

작두거리는 장군 신 중에서 별상장군(장수별상)님이 

내려야만 탈 수가 있습니다.
제가댁의 불길한 기운을 예방하고 액운을 물리치기 위해서
무당이 작두에 올라 고통을 감내하며 덕을 바라는 의식입니다.

 

 

작두의 원형은 여물을 썰던 칼이기 때문에 외작두가 맞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쌍작두, 용작두, 삼지창작두, 12작두, 반월작두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되어 타고 있습니다.

 

굿거리마다 작두를 타는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눌림굿 에서는 신가물의 기운을 눌러주기 위해서 작두를 타지만,
제가댁의 상황에 따라 안녕을 기원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제대로된 무당으로 살아가려면 상황에 맞는 

일머리를 잡아 덕을 볼 수 있게 풀어 드려야 겠지요..

 

좋은 인연이 될 수 있도록 많이 노력해야겟습니다..
신점, 영점, 화경점, 인연점, 신굿, 병굿, 재수굿, 사업운, 금전운, 직장운 

부담 없이 화경점 잘 보는 집 수연궁과 상담하세요.

 


 

 

카카오톡으로 상담 예약을 원하시면 클릭 후 친구 추가해주세요.